2018년 2월 18일 일요일, 오전 최저기온 영하5도 낯 최고기온 영상5도
서울지하철6호선 고려대역 3번 출구로 나오면 쉽게 가는 홍릉숲,국림산림과학원
2월18일 일요일엔 복수초(얼음새꽃)이 피기 시작했습니다. 2018년 무술년 개띠해에는 전년보단 개화시기가
한달정도 느린것 같습니다. 1~2주후에는 많은 수가 만개하기 시작할것으로 보입니다.
나뭇가지에 앉아있는 직박구리는 도시의 주택가등에서도 볼 수 있을 정도로 도시환경에도 잘 적응합니다.
국립산림과학원,홍릉숲내 신품종(표고)버섯재배장에서 처음보는 새를 관찰할 수 있는 조그만 시간이 주어
졌습니다. 되새과의 검은머리방울새
버섯재배장에 처음 보는 새가 어슬렁거리길래 잽싸게 사진에 담아두어 네이버지식인에 문의하니
되새과 '검은머리방울새'라는 군요. 숲,하천, 산지에 분포하는 겨울철새입니다.
번식기 이후에는 수십마리씩 떼를지어 다닌다고 합니다. 유럽,중국북동부,몽골,러시아에서 살다가
한국,일본,대만 같은 비교적 남쪽에서 겨울을 보낸다 합니다.
----------------------------------------------------------------------------------------------------------------------
2월 24일 토요일,홍릉숲,국립산림과학원
오전 최저기온 영하2도 낯 최고기온 영상8도
아직은 복수초(얼음새꽃)들은 다 피지 못했지만 핀 것들은 홀라당입니다.
전 주보다 많은 복수초가 피기 했지만 개체수는 작년보단 봇합니다. 아직 피지 못한 복수초(얼음새꽃)의
봉오리들이 많이 보입니다.
데크식 펜스안으로 얼음 보숭이를 집어넣어 연출을 한 것도 보입니다.설중 복수초를 찍겠다는 의도인데
한마디로 작품같지 않은 사진을 찍으면서 꽃들에게 이불같은 낙엽이 아닌 차가운 물을 끼얹어 냉해를
입히는 몰상식한 행위입니다.
펜스밖에 있던 복수초는 얼음 보숭이에 둘러싸여 장식품으로 전락했습니다.
복수초 단지 옆에 있던 풍년화나무엔 풍년화[豊年花]가 피기 시작합니다. 다음 주엔 제대로 필것 같습니다.
괴불나무엔 말라붙은 열매(씨방)이 있습니다.
멧비둘기는 오래전부터 이 땅에 살아온 토종 비둘기로 숲,들판,도시의 주택가에도 보입니다.
외래종인 집비둘기에게 세력권이 밀리는 듯 보입니다. 요즘 산에가면 멧비둘기보다 집비둘기가
더 많이 보입니다.
탁탁,,타타탁 나무를 쪼는 소리에 귀를 기울여 사방을 둘러보니 패인 나무수피와 그 나무를 쪼아대는
오색딱따구리 수컷이 보입니다. 머리깃 색이 빨간색이므로 수컷입니다.
맥문동의 검은 열매는 겨울 한파를 이겨내고 씨앗이 되어 새삶을 살아갈 것입니다.
빈카마이어의 잎은 겨울 한파를 이겨내고 푸른잎을 유지했습니다.
늘 보던 직박구리,지저귀는 소리와 날아가는 형태는 여러 번 보아서인지 금방 구분할 수 있습니다.
조그만 새인 쇠박새도 사진에 담을 수 있었습니다.
딱따구리종 특유의 나무를 쪼는 소리에 시선을 향해보니 청딱따구리가 보입니다.머리깃이 빨간색이므로
수컷이고,뒤돌아 보는 눈매가 날카롭고 예리하게 보입니다.
청딱따구리
쥐와 같은 설치류인 청설모도 사진에 담아봅니다.따뜻한 봄이 오니 활동도 커지는 것 같습니다.
(참)옻나무의 빈 열매가지
삼나무 원산지 일본
삼나무
앉은부채 천남성과
앉은부채,서울 청계산의 수종폭포 근처 앉은부채가 생각나지만 홍릉숲에도 식재된 것들이 자랍니다.
메타세콰이아(Metasequoia) 살아있는 화석 목본 낙우송과 공룡시대때 나무로 멸종된 줄 알았다가
2차세계대전중 중국 쓰촨성 일부지역에서 발견되어 전세계로 보급된 수목입니다. 야생에선 얼마없어
멸종위기종이지만 우리나라에선 가로수로 많이 보는 나무입니다. 번식의 강력한 매개동물이 인간이어서...
인간이 만약 지구상에서 사라지면 은행나무와 더불어 사라질 식물종입니다. 음
낙우송 낙우송과 ,낙우송과 나무의 원조격인 낙우송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