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포구 성미산(성산근린공원) 되지빠귀 ( 2023년 5월 18일 )목요일,흐리고 구름많고 비 기온은 18~26도

 

성미산(성산근린공원)의 매미( 2023년 8월 19일)토요일,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노린재목 매미아목 매미과 참매미속 참매미
때죽나무 열매
참매미; 맴맴 맴맴~~~
참매미

서울 마포구 성미산(성산근린공원) 탐조 산책( 2022년 3월 13일 )일요일,

물까치
봄은 오고 잎눈이 자라고..
참새들은 지져귀고...
연희산,궁동산,연희104고지 방향은 흐리고 시야가 안좋습니다.  
멧비둘기
멧비둘기는 난간대에 휴식을 취하고..
까치 까치 뭔까치? 물까치
직박구리
오색딱다구리(수컷)

 

서울 마포구 성산동 성산근린공원,성미산 참매미( 2020년 8월 14일 ) 금요일 흐림 비  기온은 26~28도

매미의 일생

매미의 빈 허물, 매미의 수명은 매미의 종류에 따라 3년,5년,7년,13년,17년등  
다양하며 유충상태로 땅속에서 나무의 수액을 빨아먹고 살다가 때가 되면  
본능적으로 나무로 올라가 허물을 벗고 우화(羽化)/탈피(脫皮)하여 성충이  
됩니다. 성충으로 7일~30일까지 짧은 생을 살다가 갑니다.알에서 부화하여 
유충에서 성충이 되는 비율은 5%정도 나머지95%는 천적에게 먹히거나 
자연사하여 도태됩니다. 매미의 천적은 거미,사마귀,말벌등이 있습니다. 
성충이 된 5%의 반정도가 성공적으로 짝짓기하여 후손을 남깁니다.

참매미  곤충강 노린재목 매미과 참매미

한반도, 중국, 러시아 연해주에 분포하며 일본에 분포하는 민민매미를 학자에 따라서는 별종으로 추기급하기도 합니다.

몸길이는 대략 35mm, 날개를 포함한 길이는 58mm정도이고 대부분의 참매미는 머리나 가슴의 태두리나 무늬는 

녹색이나 서해도산의 경우에는 노랑색,오렌지색을 띄는 경우가 많습니다.

7~9월에 출현하며 7월 하순~8월에 개체수가 많습니다. '맴맴'또는 '밈밈'으로 우는데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매미의 

울음소리입니다. 수컷은 한 번 울고 난 자리는 떠나 다른 나무로 옮기며 도시와 시골 구분없이 매우 흔하고

산 기슭이나 계곡 주변 숲에서 많이 서식합니다. [출처  .네이버검색]

팥배나무엔 열매가 주렁주렁,이름처럼 팥배나무의 열매는 팥만큼 작습니다. 작은 열매이지만 새나 작은 동물의 먹이가 된답니다.
참매미,우리가 맴맴하고 우는 매미의 전형으로 알고있는 매미입니다.
참매미
참매미
맥문동 꽃
참매미
참매미
옥잠화는 아닌 일반 비비추
참매미
참매미
참매미
파리?
참매미 수컷,숫매미

 

 

참매미 좌 수컷  우 암컷

 

참매미 우는 소리

 

 

 

서울 마포구 성산동 성미산 산책( 2019년 3월 25일 )월요일,

멀리서 보면 매화꽃인줄 알겠네요. 꽃받침이 벌려져 있으므로 살구꽃이라 동정이 됩니다.
우리동네 성산동 성미산엔 살구나무에 살구꽃이 피었습니다.
미세먼지로 날도 흐리고 안개가 드리워진 듯한 날씨입니다.

 

 

 

 

2018년 8월14,15일.화요일,수요일...아침 최저기온 영상28도 낯 최고기온 

영상36~37도인 초열대야와 무더위가 한창인 날들의 기록입니다.


  애매미 울음소리  추르르르 추르르르 쓰츠스츠 호~시 쓰히히히 

스피오 스피오 쓰으으으~~

    참매미 울음소리 맴맴 맴메에~~맴 밈밈~~

애매미 생김새는 쓰름매미와 비슷한데 차이점을 찾아봐야 겠습니다.

  참매미 참매미는 애매미에 비해 몸통이 뭉특한 느낌이 듭니다.

 매미의 빈 허물, 매미의 수명은 매미의 종류에 따라 3년,5년,7년,13년,17년등 다양하며 유충상태로 땅속에서 나무의 수액을 빨아먹고 살다가 때가 되면 

본능적으로 나무로 올라가 허물을 벗고 우화(羽化)/탈피(脫皮)하여 성충이 

됩니다. 성충으로 7일~30일까지 짧은 생을 살다가 갑니다.알에서 부화하여

유충에서 성충이 되는 비율은 5%정도 나머지95%는 천적에게 먹히거나

자연사하여 도태됩니다. 매미의 천적은 거미,사마귀,말벌등이 있습니다.

성충이 된 5%의 반정도가 성공적으로 짝짓기하여 후손을 남깁니다.


궁동산,궁동산근린공원,연희산(延禧山),염산(廉山),연희104고지,연희고지,

104고지 백사정(百思亭)이 있는 정상이 있고 625(한국전쟁)때 해병대제1대대 전적지가 있습니다.  1950년 9월 21일 격전이 있던 지역입니다.





 북한산둘레길 북한산생태공원에 심어진 벌개미취

      공작단풍,세열단풍(細裂丹楓)

북한산국립공원 족두리봉 정상

말매미


말매미,매미종 중에서 제일 큰 매미 울음소리 쐐애애애~~끓는 듯한 소리

말매미 울음소리


베롱나무에 분홍색 꽃이 피었습니다. 목백일홍,백일홍나무

금계국(金鷄菊) 꽃에 배추흰나비가 꿀을 빨기위해 앉아있고

텅빈 풍선같은 껍질을 가진 열매를 달고있는 모감주나무

말매미

벚나무의 높은 곳에 있는 말매미

북한산국립공원 북한산둘레길 구름정원길 구간

포도송이 같은 열매를 맺은 댕댕이덩굴


북한산에 출몰하는 정체불명의 게잡이원숭이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틀,

뭔가 어색하고 설치가 제대로 되지 않았습니다.


앵봉산(鶯峰山)방향

구파발역 이말산 방향

봉산(烽山) 방향

백련산(白蓮山) 방향

북한산둘레길 옛성길구간과 지나온 길,서대문구의 안산(鞍山)도 보입니다.

산초나무,열매는 짱아찌로 담그거나 가루로 만들어 양념으로 먹습니다.

붉나무,열매엔 결정이 생기는 데 소금입니다.그래서 소금을 구하기 어려운

산간지방에선 이 붉나무로 소금을 만들어 먹었습니다.붉나를 염부목(鹽膚木)

이라고 부르는 까닭입니다. 붉나무 잎에 진딧물 벌레집이 생기는데 오배자라

부르며 이질과 설사약으로 쓰이고 암세포의 전이를 막는다고 하며 염료의

재료로 쓰이기도 합니다. 

북한산둘레길 근처 텃밭 

닭의장풀,달개비

???벌집. 쌍살벌집일까?


네발나비과의 세줄나비

애매미


                                    애매미 울음소리


쥐똥나무

나무를 칭칭감은 덩굴식물,담쟁이덩굴?

깃동잠자리

하산하면서 너른 공터도 지나고

무당거미

풀숲에 숨은 네발나비

겹흰무궁화

                                              무궁화(無窮花)

                     열려라 참깨,들깨가 아닌 참깨에 흰꽃이 피었습니다.









성산(城山)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1동에 있는 산이다. 

이 산 이름에서 성산동 지명이 유래하였다. 성산(城山)이라는 이름은 한자어이며 순한글 이름은 성메 또는 성미 라고 불린다. 성산의 높이는 66m이다. 원래의 성산은 성산2동까지 

연결된 산이였으나 일제강점기 때 홍제천 직강공사를 통해 

산이 잘려 지금의 성산이 되었고 잘린 성산2동쪽의 산은 

새터산으로 불린다. 성산 안에는 성산근린공원이 설치되어 성산1동 주민들이 이용하고 있다. 성산 주변으로 옛 마포구청, 성서중학교, 성서초등학교, 홍익초중고가 있으며 이런 

학교들이 들어섬에 따라 산 면적이 좁아지고 있다. 이 산은 성미산으로도 불리는데 앞에서 설명했듯이 성미 의 미는 뫼 산(山) 의 뫼가 발음이 변하여 메, 미 로 변한 것이라 산이라는 뜻을 이미 갖고있어서 성미산이라는 명칭은 맞는 명칭이 아니다_____위키백과[출처]


2018년 7월 22일 일요일 낯기온은 37도,38도에 육박하고 연일 열대야에 

폭염으로 지쳐가는 여름날입니다. 

성미산으로 오르는 산 길에서 도로건너 저 멀리 궁동산이 보입니다.

연희산으로 알고 있었고 어릴적엔 마주앙이라는 국산와인 광고 간판이 

설치되어 있어서 마주앙산이라는 별칭으로 부르기도 했습니다.

비비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산지의 냇가나 습지에서

 잘 자랍니다.

비벼먹어야 제 맛이 난다하여 비비추라 불리고 지부,이밥취라고도 불립니다.

잎을 비비면 거품이 나면서 독성이 빠지고 부드러워 집니다.

부드러워진 잎은 끓는 물에 데쳐서 쌈을 싸 먹거나 국을 끓이거나 장아찌로 담그기도 하고

묵나물로도 먹습니다. 여러 종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일월비비추,흰일월비비추등이 있습니다.


교회이름이 열림교회던가...?

저멀리 남산(南山)N타워도 보이고

나라꽃, 삼천리 강산에 우리나라꽃 무궁화(無窮花) 꽃도 피었습니다.

저멀리 북한산국립공원의 봉우리들이 멋지게 도열해 있습니다.

1993년 8월 성산(城山) 일대를 도시공원으로 지정해서 성산근린공원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城山近隣公園]

  담벼락에 핀 여름날의 능소화,

 며느리밑씻개,사광이풀아재비

집앞에 있는 연광교회(延光敎會) 화단에 핀 참나리 꽃 

성미산으로 오르는 길에 누리장나무에 꽃이 피었습니다.

누리장나무

마편초과의 낙엽 활엽 교목

누린내가 난다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한창 자라는 봄에서 여름까지는 

이 나무 근처로 가도 누린내를 맡을 수 있으나 잎을 찢으면 냄새가 

더 강해집니다다,북한에서는 누린내나무 중국에서는 냄새오동 일본에서는

 냄새나무로 불립니다. 어린 잎은 나물로도 먹습니다.

잔가지와 뿌리는 말려 민간에선 기침이나 피부병에 약으로 사용합니다.

근래에는 꽃과 열매를 보기위해 정원수로 심습니다. 누리장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색소는 한때 식품첨가물로 쓰이기도 했습니다. 

경남 하동에선 누리장나무의 어린 잎을 채취해서 물에 우렸다가

말려서 묵나물로 만드는데 누린내는 휘발성이 강해 사라지기 때문에

 의외로 고소한 맛을 느낀다 

합니다. 누른대나물로 불리는데 누른대나물로 불리는 나물에는 

누리장나무와 박쥐나무가 있습니다.. 박쥐나무 잎은 근육통,요통 통증완화에 쓰이기도 합니다.


 서대문구의 안산(鞍山)이 나무의 잎에 가리워져 있습니다.

나무에 물까치가 숨어 있는데 카메라 화상에 담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궁동산,궁동산근린공원

매미 우화(羽化)의 흔적,매미 번데기 껍질,7년의 기다림,번식을 위한 1~2주간의 치열한 짧은 삶

북한산(北漢山)은 나뭇잎들로 가리워져 있고

성미산 약수터 근처에는 심어진건지는 모르지만 참나리 군락지가 있습니다.

참나리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산과 들에 자생하기도 하고 

꽃을 보기위해 관상용으로 심어서 재배하기도 합니다.

원줄기아래 땅속엔 둥근 비늘줄기 인경 (鱗莖)가 발달하며 꽃은 피나 

열매를 맺지 못하고 ,잎 밑부분에 있는 구슬눈 주아(珠芽) 가 땅에 떨어져 

발아합니다. 비늘줄기 인경은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합니다. 말나리도 

인경을 식용및 약용으로 쓰기도 합니다.

꽃은 7~월사이에 피며 꽃잎이 붉고 뒤로 말렸다 하여 권단(捲丹)이라 합니다.


 집근처 화단에는 천남성과의 토란이 화분에 심어져 있습니다. 토란의 뿌리는 약간의 독성이 있어서손질해서 소금물에 담가 아린 맛을 제거한 후 국에 삶아 토란국을 해 먹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