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25일 토요일,순번제로 돌아오는 휴일 블로그이웃님들과 천마산 팔현계곡으로 가볍게 꽃탐사를

갔었습니다. 서울지하철 1호선 석계역 7번 출구로 나와 큰길 사거리에서 오전 9시 45분에 이웃님들을 만나

앙드래황샘님의 차량에 운전은 우에사카님이 하셔서 거기서 가까운 거리인 천마산 팔현계곡으로 쉽게

갈 수 있었습니다. 다래산장 주차장에 차를 주차하고 비가 조금 오는 듯한 날이었지만 볼 것은 다 본 날이

었습니다.

계곡초입에 보이는 점현호색,잎이 흰점으로 물들어서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한국특산종이라 합니다.

잎이 細列되어 있는 제비꽃,,남산제비꽃

꽃잎 끝이 오목 패여있으면 큰개별꽃,아니면 개별꽃

산에 사는 산개구리가 알을 계곡에다 낳았습니다.도룡뇽 알은 투명한 튜브속에 알이 들어있는 형태입니다.

천마산 등산 안내도,,관음봉,된봉이 근처에 있을 겁니다.

앉은부채도 많이 보입니다.포엽[包葉]속에 도깨비 방망이 같은 것이 꽃입니다.

둥근털제비꽃

꿩의바람꽃

너도바람꽃

너도바람꽃이 있으니 나도바람꽃도 찾으러 가봐야 겠습니다.

실제로 나도바람꽃은 4월부터 피기 시작합니다.용문산 배너미고개,태백산,청태산,광덕산...

만주바람꽃,,만주가 원산지라 만주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학술적으로 1970년 경기도 미금시 백봉에서

국내 처음으로 채집하였다 하는데 미금시가 사라지고 이름이 변해서 남양주시가 되었습니다.

천마산옆이 백봉산 즉 백봉입니다.마치고개로 이어져 있습니다.

꿩의바람꽃,,날이 잔뜩 흐려서 인지 활짝 열린 모습은 안 보입니다.

각시현호색,,,그럼 왜현호색은 어떤건지 궁금합니다.???

너도바람꽃인데 꽃받침이 7장인 돌연변이 개체들입니다.

산괭이눈..?/

노루귀는 아닌 노루발풀:정명

각시현호색

금빛 물들인 금괭이눈이 물가 근처에 많이 보입니다.

는쟁이냉이,산갓,산겨자,山芥..물김치나 산갓챗물로 담가 먹으면 알싸한 매운 맛이 일품입니다.

뒷맛은 깔끔한 것이 특징이지요.물김치로 담그면 물색깔이 자주빛을 띄게 됩니다.


올괴불나무 꽃

올괴불나무 꽃이 이제 한창이기 시작합니다.

만주바람꽃

감자란초,,꽃을 잘하면 천마산에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계곡의 처녀치마 군락지는 이제 꽃대들을 올리기 시작하는 분위기입니다.

수피[樹皮]가 얇은 종이 조각처럼 벗겨지는 물박달나무..

노오란 생강나무꽃,,개동백꽃.. 

봄의 전령사 개나리꽃.서울 응봉산엔 노랗게 물들었을 것 같습니다. 

     개암나무의  늘어진 것은 수꽃,,혀를 낼름거리는 구조의 빨간 작은 것은 암꽃 










2010년 1월에 처음 가보고 올해는 2월,4월,6월 세번째 태백산행입니다. 태백산은 강원도 태백,영월,경상북도 봉화에 걸쳐진 산입니다.

개다래 꽃,다래꽃은 수술부분이 까만점 같습니다.잎이 반쯤 하얗게 물드는데 이러한 현상은 곤충을 끌어들이기 위한 유인책입니다. 즉, 번식을 위해 수정을 하는 곤충을 꽃이 끌어들이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예전이름은 누른종덩굴이라 합니다. 전반적인 생김새가 세잎종덩굴과 비슷해서 얼마전에 누른종덩굴도 

세잎종덩굴로 이름을 통일했습니다. 세잎종덩굴의 변이종인데 학자들의 논문유희로 종種이 갈라져 부르다가

이제야 바로잡는다며 정정형식으로 이름이 원래이름으로 부르게 된 케이스입니다.

함박꽃나무,산목련..산에서보는목련,북쪽의 주체조선이라는 곳에서 이 꽃을 국화國花로 지정했습니다.

참기생꽃,기생꽃..어떤 이는 참기생꽃이라 부르고 어떤 이는 기생꽃이라 부르고,저도 사진으로는 구분이 안되어

그냥 편안한대로 (참)기생꽃이라 부르게 됩니다. 이름의 유래가 일본기생 게이샤가 하얗게 분칠한데서

꽃이 하얀것과 연관지어 부른다는 설과 게이샤가 머리 위에 쓰는 화관花冠과 비슷하다 해서 기생꽃이라

부르게 되었답니다. 그런게 왜 하필 일본기생 게이샤일까요?.. 그건,일본학자들이 기록한 걸 그대로 베껴 쓴

흔적이지요. 분명 우리 땅에서 자라는 꽃일터인데 이걸 처음 연구라고 기록한게 일본학자들이고 그게 일제

강점기의 흔적들입니다. 알고보면 부끄러운 우리의 역사입니다.

그래도 널리 불리워지는 이름은 참기생꽃입니다. 고산지대에서나 보이는 꽃이고 인공번식조차 힘든 희귀종인데 우리 고유의 옛 이름조차 없습니다. 

풀솜대,태백산같은 고산지대엔 이거와 비슷하지만 꽃색깔만 다른 자주솜대도 있었지만 등로 깊숙히 뒤져봐도 

보이지 않았습니다.풀솜대는 지장보살나물이라 하여 어린 순, 잎을 나물로 먹기도 합니다.

자주솜대는 꽃부분이 하얀색이 아니고 녹색인데 점점 자라면서 자주빛을 띈다고 해서 자주솜대라 부른답니다.

붉은병꽃나무,왠만한 산에는 흔한 병꽃나무입니다.꽃이 꼭 병꽃같이 생겼지요. 비슷한 꽃댕강나무완

차이를 구분하기엔 여러 번의 복습이 필요합니다.

태백산의 주목,주목朱木,살아서 천년,죽어서 천년, 이천년을 버티는 것 같습니다.

소백산에도 다른산에도 있지만 태백산의 주목들을 최고로 치는 것?같습니다.

눈개승마,산에서 많이 보이는 고급산채요리에 쓰이는 산나물인데 이 정도로 크면 먹기가 억세겠지요.?

일명 삼나물로 눈개승마 어린 잎과 순을 먹는데 고기맛이 난다하여 고기나물로도 불리기도 합니다.

매발톱나무 그리고 꽃.가만있어봐라   ..어딘지 비슷한 4월달 태백산에서 보던 뭔가와 비슷하지요.

한계령풀과 비슷한데 같은 매자나무과라 합니다. 한계령풀은 말그대로 풀,초본..이 건 나무,목본..

인가목 꽃,,산에서 피는 장미입니다.열매도 길죽하니 짧은 타원형이에요.산에서 피는 해당화라고도 합니다.

그러고 보면, 인가목이나 해당화,찔레꽃들은  다 같은 장미과입니다. 열매도 먹기도 하는데 효소라는 이름으로

발효시키기도 합니다.

꽃쥐손이풀,들쥐손이풀,,.어떤가요? 꽃 모양이 쥐다리와 닮았나요. 아직 제대로 된 자료,데이타베이스가 

없어서인지 기록이 안되었는데 희귀종이라 보기가 어려운데 여기엔 지천으로 널렸습니다.

생김새가 둥근이질풀,쥐손이풀,이질풀등과 비슷한데 같은 친족관계라 합니다. 

애기나리꽃과 비슷한데 곧추서고 잎도 꽃도 일반애기나리와 비교해보면 커보입니다.

그래서 이름이 큰애기나리입니다.

숲속의 요정,감자란초. 잎은 풀숲에 감춰져 있는데 보기드문 야생난초입니다. 군락지에서 구경하느라 잠시

쉬어가기도 했습니다.

기름나물,산형과로 잎 모양이나 꽃 생김새의 약간의 차이로 분류가 많아집니다. 머리가 아픈 만큼 종류가 

많습니다.

큰앵초,앵초중에 잎이 큰  큰앵초입니다.앵초가 봄에 피는 것이라면 큰앵초는 초여름에 나타납니다.

산마늘,일명 명이나물, 단군檀君신화에 나오는 곰과 호랑이가 먹었다는 마늘은 이 마늘일겁니다.

왜냐구요?. 마늘은 그 땐 한반도에 전래되기 이전인데 마늘이 있을리 없잖아요.

인가목 꽃,흰인가목꽃은 희귀종이라 보기가 힘듭니다. 설악산 서북능선에 깊숙히 숨어 있다는 이야기는 

풍문으로 들었습니다.

엉겅퀴꽃은 흔하지요. 나물로 먹는 경우도 있지만 간에 좋은 약효때문인지 한 때 마구잡이 채취가 행해지기도

했습니다.




+ Recent posts